TIL30 [항해 미니프로젝트 5주차] 이번주는 항해에서 미니 프로젝트를 하는 주였다!!! 나는 나랑 정말 쿵짝이 잘 맞는 팀원들이랑 팀이 되어 정말 기분 좋게 프로젝트를 할 수 있었다. 프론트는 나 혼자라서 조금 힘들기 했지만 백엔드 분들이 나의 상황을 정확하게 이해해주셔서 크게 어려운 점들은 없었다. 그래서 오늘은 내가 프로젝트를 하면서 겪었던 트러블 슈팅들과 이를 어떻게 해결했는지에 대해서 작성해볼려고 한다. 1. 중첩 라우팅 우리 프로젝트의 특징은 기존의 원페이지를 극한으로 사용하는 것이었다. 즉 이게 무슨 말이냐면 메인 페이지의 템플릿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른 페이지들마다 새로운 컴포넌트를 붙이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였다. 그래서 나는 이전 페이지에 있던 내용을 기억해서 다른 페이지에도 쓸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관건 이었다. .. 2023. 7. 16. [항해 99 주특기 주차 17일차] 오늘은 vite 프로젝트에서 작업을 많이 했다. 그래서 오늘은 vite 프로젝트를 왜 사용하고 이를 사용하면서 느꼈던 장점 들을 설명하려고 한다. 1. vite 프로젝트를 사용하는 이유 vite 프로젝트를 사용하는 이유는 vite 프로젝트가 가볍기 때문이다. 이가 무슨 말이냐면 기존의 CRA로 만든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설정하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프로젝트가 무겁다. 즉 잘 돌아가지 않는다. 하지만 vite의 경우에는 굉장히 가볍다. 즉 기본적으로 설정하는 것들이 많지 않기 때문에 프로젝트가 가벼운 것이다. 즉 빠르게 돌아간다. 이러한 이유들로 vite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빠르게 변화를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프로젝트 생성 방법 2. vite 프로젝트의 장점 2-1) vite는 정.. 2023. 7. 14. [항해 99 주특기 주차 16일차] 오늘은 개발자의 협업 툴인 "지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 툴을 살펴본 이유는 나중에 항해에서 할 프로젝트를 위해서 미리 배워봤다. 그래서 오늘은 지라의 특징과 왜 지라가 좋은 협업 툴인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다. 1. 지라 그래서 왜 쓰는 거야? 지라를 쓰는 이유는 협업을 관리하기 위해서 쓴다. 이는 결국 협업을 구두로 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모니터링하고 실제 진행상황이 어느정도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다. 자세히 말하자면 백로그 , 모니터링 , 보드 등을 통해서 협업을 할때 발생하는 이슈들을 정리하고 정해진 기간내에 이슈를 처리하는 방안으로 지라를 사용할 수 있다. 2. 지라를 사용하는 방법 https://flexwork.co.kr/blog/remote-project-management-jira/ .. 2023. 7. 12. [항해 99 주특기 주차 15일차] 오늘은 태현님과 함께 블로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내가 협업을 할때 내가 쓰는 코드를 다른 사람이 읽기 쉬운지 내가 쓴 코드가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지를 체크하고 싶다는 마음에 팀원이 태현님과 함께 기술메니저님에 기술 블로그를 만들게 되었다. 그래서 오늘은 협업하면서 겪어던 문제들 그리고 이를 어떻게 해결했는지에 대해서 한번 적어볼려고 한다. 1. 네이밍 문제 내가 이번에 태현님이랑 협업을 하면서 느꼈던 첫번째 문제는 네이밍 문제였다. 둘이 쓰는 네이밍이 다르다 보니 서로의 네이밍을 이해하기가 굉장히 어려웠다. 예를 들어서 나는 ul 태그를 menu라고 지었는데 태현님의 경우는 list라고 지었다. 그래서 나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components naming convension 을 찾아보.. 2023. 7. 10. [WIL 항행 99 3주차 #3] 이번주에는 굉장히 고민을 많이 했던 주였던 거 같다. 내가 어떻게 해야지 다른 사람들과 협업을 할때 내 코드를 사람들이 이해하면서 진행할 수 있을까? 어떻게 코드를 짜야지 나중에 변경에도 유연한 코드를 짤 수 있을까? 정말 고민을 많이 한 주였던 거 같다. 그러면서 내가 느낀 것은 내가 지금 쓰고 있는 코드가 가장 읽기 좋은 코드고 지금 고민해봤자 소용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그런 깨달음을 마지막으로 이번 주는 지나간거 같다. 오늘은 라이플 사이클 (함수형 vs 클래스형) , hooks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다. 1. 라이플 사이클 (함수형 vs 클래스형) 함수형과 클래스형 모두 안에서 돌아가는 원리는 똑같다. 하지만 함수형의 경우 강력한 hook이 있고 클래스형의 경우 프로그래머가 직접.. 2023. 7. 9. [항해 99 주특기 주차 14일차] 오늘은 무한 스크롤을 구현하면서 확대를 했을 때 무한 스크롤이 구현되지 않은 이유와 대책에 대해서 설명을 하려고 한다. 1. 확대를 했을때 왜 무한 스크롤이 작동하지 않은 거지?.. 확대를 했을 때 무한 스크롤이 구현되지 않은 가장 핵심적인 이유는 clientHeight때문에 그렇다. 내가 확대 , 축소를 해도 document의 height는 변함이 없다. 하지만 내가 확대 축소를 할 때 clientHeight는 변함이 있다. 즉 확대를 했을때 clientHeight는 기존의 100%보다 훨씬 작아졌을 것이고 이는 결국엔 스크롤의 맨 하단과 document의 가장 하단 사이의 임의의 빈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는 결국 어떻게든 밑으로 내려도 그 공백을 채울 수 없으며 결국엔 스크롤의 가장 하단을 찾지 못.. 2023. 7. 8.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