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70

Content-type에 대하여... 오늘은 Content-type에 대해서 같이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한다. 정확히 말하자면 Content-type이 무엇이고 종류는 어떤 것이 있으며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 알아볼려고한다. 1. Content-type 이란? : content-type이란 http 헤더의 일종으로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가 주고 받는 데이터의 형식을 말한다. 2. Content-type의 종류 - text/html: HTML 문서를 나타냅니다. 웹 페이지의 기본 형식입니다. - text/plain: 일반 텍스트 문서를 나타냅니다. 어떤 특별한 서식 없이 순수한 텍스트만 포함됩니다. - application/json: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식의 데이터를 나타냅니다. 웹 API와 클라이언트 .. 2023. 8. 16.
브라우저의 작동 방식에 대하여... 오늘은 브라우저의 작동 방식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즉 브라우저가 어떻게 작동하느냐?라는 질문에 대해서 답을 해보려고 한다. 1. 브라우저 어떻게 작동하느냐? 브라우저의 작동방식을 크게 보자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온다. 두번째 서버의 응답을 받는다. 이렇게 2가지의 과정으로 나뉜다. 이를 자세히 들어가자면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버에게 보내고 이에 대한 응답 즉 리소스 (html , css , js)를 받는다. 브라우저는 이 리소스를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 html : html 문서는 파싱되어 구조화된 트리 형태의 DOM을 만든다. css : css 또한 파싱되어 구조화된 CSSOM을 만든다. js : js는 파싱되어 이는 랜더 트리에 영향을 미친다. 렌더 트리 : .. 2023. 8. 15.
호이스팅에 대하여... 오늘은 자바스크립트에서 굉장히 중요한 개념인 호이스팅에 대해서 알아볼려고 한다. 정확히 말하자면 호이스팅이 어떤 개념이 이 개념이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1. 호이스팅이란? 호이스팅이란 변수나 함수 선언이 자신이 속한 스코프에서 가장 최상단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실제적인 코드자체가 위로 올라간다느 개념보다는 자바스크립트 해석 엔진이 코드를 판독하고 해석할 때 적용되는 기준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2. 호이스팅의 종류란? 호이스팅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첫번째는 변수 호이스팅이다. 두번째는 함수 호이스팅이다. 3. 호이스팅의 필요성 호이스팅은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코드를 해석할 때 적용되는 기준이다. 그 만큼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디버깅하거나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작성할 때 .. 2023. 8. 14.
상태 관리에 대하여... 이번에는 상태 관리에 대해서 같이 이야기를 나눠볼려고 한다. 이야기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상태관리란 무엇인가? 두번째 상태관리는 왜 하는 것인가? 세번째 상태관리를 어떻게 진행하는가? 이다. 그렇다면 이 세가지 질문에 대해서 나만의 답을 해보도록 하겠다. 1. 상태관리란 무엇인가? : 상태관리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상태에 대해서 살펴봐야 할 것 같다. 상태란 프로그래머 입장에서 봤을 때는 데이터이다. 즉 상태관리란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2. 상태관리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상태 관리를 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첫번째는 렌더링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이다. 리엑트에서 렌더링이란 성능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주제이다.. 두번째로는 상태의 불변성을 유지시키기.. 2023. 8. 14.
any와 unknown에 차이점에 대하여... 오늘은 any와 unknown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볼려고 한다. 이 말을 들었을 때 다음과 같은 생각이 들 것이다. any는 어떤 거고 , unknonw은 어떤 것이길레 둘의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서 먼저 any와 unknown이 무엇인지 부터 알아보도록 하겠다. 1. any와 unknown의 공통점이란? any와 unknown는 모두 어떤 값에든 할당 될 수 있는 타입이다. 이는 결국 수동적인 타입을 의미한다. 이런 any와 unknown은 수동적인 타입이다보니 정적 타입 언어인 typescript의 장점을 살리는 데 있어서는 좋지 못한 타입이다. 그렇다면 왜 이런 any와 unknown이 만들어진 것일까? 그 이유는 사실상 자바스크립트에 답이 있다. 자바스크립트의.. 2023. 8. 12.
atomic pattern에 대하여... 오늘은 atomic pattern에 대해서 작성해볼려고 한다. 내가 atomic pattern에 대해서 공부하게 된 계기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컴포넌트를 나누는 기준을 명확하게 알고 싶다. 사실 기능적 폴더 구조나 타입별 폴더 구조 모두 컴포넌트를 나누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사실상 크게 컴포넌트를 나누는 기준은 알 수 있어도 세부적으로 컴포넌트를 나누는 기준은 알 수 없다. 그래서 나는 세부적으로 컴포넌트를 나누는 기준을 알기 위해서 atomic pattern에 대해서 알아볼려고 한다. 두번째 atomic pattern은 사실상 프론트엔드 디자인 패턴에서 유명한 디자인 페턴이다. 그 이유는 명확한 폴더 구조와 명확한 컴포넌트 분리 기준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어떤 점에서 atomic pattern이.. 2023. 8. 11.